M62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62 기관차는 1960년대 소련에서 개발되어 동유럽 및 아시아 여러 국가에 수출된 디젤 기관차이다. 헝가리의 M61 기관차 구매가 무산된 후 소련이 자체 개발을 지시하여 제작되었으며, 표준궤와 2000kW 이상의 출력을 요구사항으로 하여 1965년 시제품이 헝가리에 처음 수출되었다. M62는 여러 파생형이 존재하며, 소련, 북한, 폴란드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영되었다. 특히 북한에서는 '신성'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남북 철도 연결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차량 - 마터형 증기 기관차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운행한 마터형 증기 기관차 중 마터2형 10호는 한국 전쟁 중 탈선되어 임진각에 전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러시아의 철도 차량 - RZD ER200
RZD ER200은 1960년대 후반 개발되어 최고 속도 200km/h로 설계되었고, 1984년부터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구간에서 운행되다가 2008년 운행이 중단된 소련의 고속 열차이다. - 러시아의 철도 차량 - RZD ED4
ED4는 ED2T 전동차를 기반으로 소련 붕괴 후 러시아의 국산화 노력으로 제작된 교외형 전동차 시리즈로, 자체 기술 개발과 디자인 개선을 통해 다양한 파생 모델을 가지고 있다.
M62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디젤-전기 기관차 |
제작 기간 | 1965년 - 1990년 |
총 생산량 | 3,273량 |
궤간 | 1,435 mm 1,520 mm |
차륜 배열 | C-C |
UIC 분류 | Co′Co′ |
별칭 | 가가린, 이반 세르게이 마슈카 타이거트롬멜 세르게이 무하 메슈카 신성, 금성 |
사양 | |
제작사 | 루한스크 디젤 기관차 공장 (현재: 우크라이나 루한스크) |
모델 | M62 |
운전 지름 | 1,050 mm |
축거 | 4.2 m (대차 중심 간 거리) |
길이 | 17.55 m |
폭 | 2.95 m |
높이 | 4.493 m |
축중 | 19.3 t |
기관차 중량 | 116.5 t |
연료 종류 | 디젤 연료 |
연료 용량 | 3,900 L |
물 용량 | 950 L |
연료 소비량 | 340 kg/h |
주 엔진 | 콜롬나 14D40 |
엔진 종류 | 디젤 엔진 |
실린더 수 | V12 |
변속기 | 디젤 전기식 |
최고 속도 | 100 km/h |
출력 | 1,472 kW |
견인력 | 314 kN |
기관차 제동기 | 오에를리콘 공기 |
열차 제동기 | 압축 공기 제동기 |
운용 | |
운용 기관 | BCh ČD ČSD DR DBAG MÁV GySEV PKP RZhD UZ MTZ KSR |
기관차 종류 | M62 (SZhD, RZhD, MÁV, GySEV, BCh, MTZ, UZ), 781 (ČSD, ČD), T 679.1 (ČSD), V200 (DR), 120 (DR), 220(DBAG), ST44 (PKP), K62 (KSR) |
2. 역사
코메콘 지침에 따라 동구권 국가들의 중형 디젤 기관차 생산은 루마니아와 소련에 독점적으로 할당되었다.[2] 1961년 헝가리가 스웨덴 NOHAB에서 M61 기관차 20량을 구매하자, 당시 소련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유감을 표명했다.[20] 이 사건 이후 동유럽 국가들은 서유럽에서 기관차를 구매할 수 없게 되었고, 소련은 수출용 기관차 개발을 지시하였다.[20]
헝가리의 주문에 따라 보로실로프그라드 기관차 공장(현재: 루한스크 기관차 공장)에서 개발된 M62 기관차는 헝가리 철도가 이전에 M61이라는 스웨덴 기관차를 주문했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소련은 헝가리가 소련 기관차를 구매하도록 강요했지만, 당시 소련에는 적합한 디젤 기관차가 없어 M62 개발이 촉진되었다.
새로운 기관차는 표준궤(1435mm)를 사용하고 최고 출력은 2000kW를 넘어야 했다.[20] TE3, TE10 기관차 설계를 기반으로 내부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표준궤용 기관차 제작 경험 부족으로 연료통 등이 작아져 소련용 기관차보다 효율이 떨어졌으나, 이후 2M62U에서 연료통이 개선되었다.
M62 기관차의 시제품은 1965년에 생산되어 헝가리에 처음으로 수출되었다.[21] M61 기관차와 사양이 비슷하여 헝가리에서 M62라는 모델명을 붙였고, 소련도 이를 수용하였다.[3] 이후 소련 내수용으로 723량이 생산되었고, 소련 전체에서는 총 3,273대가 생산되었다.
2. 1. 개발 배경
1960년대 초, 동유럽 국가들은 디젤 기관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지만, 자체적인 생산 능력은 부족했다. 코메콘 지침에 따라 동구권 국가들의 중형 디젤 기관차 생산은 루마니아와 소련에 독점적으로 할당되었다.[2]1961년 헝가리가 스웨덴 NOHAB에서 20량의 M61 기관차를 구매했을 때, 당시 소련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유감을 표명했다. 이 사건 이후 동유럽 국가들은 서유럽에서 기관차를 구매할 수 없게 되었고, 소련은 수출용 기관차 개발을 지시하였다.[20] 소련은 헝가리에 소련 기관차를 구매하도록 압력을 넣었지만, 당시 소련에는 적합한 디젤 기관차가 없었기 때문에 M62 기관차의 개발이 촉진되었다.[3]
새로운 기관차는 표준궤(1435mm)를 사용하고 최고 출력은 2000kW를 넘어야 했다.[20] TE3, TE10 기관차 설계를 기반으로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개발되었다. 표준궤용 기관차 제작 경험 부족으로 연료통 등이 작아져 소련용 기관차보다 효율이 떨어졌으나, 이후 2M62U에서 연료통이 개선되었다. M62 기관차의 시제품은 1965년에 생산되었으며, 헝가리에 처음으로 수출되었다.[21] M61 기관차와 사양이 비슷하여 헝가리에서 M62라는 모델명을 붙였고, 소련도 이를 수용하였다.[3]
2. 2. 개발 과정
흐루쇼프 당시 소련 서기장은 1961년 헝가리가 스웨덴 NOHAB에서 M61 기관차 20량을 수입했을 때 유감을 표명했다.[20] 이 사건 이후 동유럽 국가들은 서유럽에서 기관차를 수입할 수 없게 되었고, 소련은 수출용 기관차 개발을 지시하였다.[20] 수출용 기관차는 표준궤 1435mm로 제작되어야 했고, 최고 출력은 2000kW를 넘어야 했다. M62 기관차의 시제품은 1965년에 생산되어 헝가리에 처음으로 수출되었다.[21] M61 기관차와 사양이 비슷하여 M62라는 모델명이 붙었고, 소련도 이 명칭을 사용하였다. 이후 소련 내수용으로 723량이 생산되었다.M62 기관차는 TE3 기관차와 TE10 기관차의 설계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내부 구조가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표준궤용 기관차 제작 경험이 부족하여 연료통 등 여러 부분이 작아졌고, 소련용 기관차보다 효율이 떨어졌다. 이후 2M62까지 같은 설계를 사용하였고, 2M62U에서 연료통이 개선되었다.
코메콘 지침에 따라 동구권 국가들의 중형 디젤 기관차 생산은 루마니아와 소련에 독점적으로 할당되었다.[2] M62 기관차는 헝가리의 주문으로 보로실로프그라드 기관차 공장(현재: 루한스크 기관차 공장)에서 개발되었다. M62라는 명칭은 헝가리에서 유래되었는데, 헝가리 철도는 이전에 M61이라는 스웨덴 기관차를 주문했었다. 소련은 이를 달갑지 않게 여겨 헝가리에 소련 기관차를 구매하도록 압력을 가했지만, 당시 소련에는 적합한 디젤 기관차가 없어서 M62 기관차의 개발이 촉진되었다. 이 중형 화물 기관차의 초기 시제품은 1964년에 완성되었고, 소련 외 첫 구매자는 헝가리였다.[3] 소련에서는 총 3,273대가 생산되었다.
3. 기술 사양
M62 기관차는 3축 2대차 배치를 사용하며, 기관차와 대차 프레임은 박스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디젤 엔진과 주 변압기는 철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은 다시 기관차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동기는 대차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24] 전기-공기식 총괄제어 장치가 장착되어 최대 2중련(일부 3중련)까지 가능하다.[25]
M62에 장착된 V 디젤 엔진은 이전 제작 경험 없이 급하게 제작했기 때문에 품질이 좋지 못했다. 과도한 연료 및 오일 소비, 그리고 선로의 심한 마모로 인해 폴란드 국영 철도는 해당 기종의 사용을 줄였다. 2007년에도 많은 M62 기관차가 PKP에서 화물 운송용으로 운행되었지만, 현재 대부분은 보관되어 있다. 일부 노선(예: 그디니아–헬 노선)은 ST44 기종의 운행을 금지하고 있는데, 이 기종의 과도한 무게가 가볍게 건설된 선로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기 때문이다.[3]
2005년, 두 대의 ST44 기관차가 부마르-파블로크 S.A.에 의해 완전히 개조되어 LHS 노선에 인도되었다. 개조 내용에는 새로운 캐터필러 3516B HD 디젤 엔진과 주 교류 발전기가 포함되었다. 이 기관차는 3001 및 3002로 지정되었다.[6]
2007년부터 뉴아그는 M62 기관차의 대대적인 현대화를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주 동력원 및 발전기 교체, 새로운 운전실 및 차체 장착이 포함된다. 현대화된 유닛은 제조업체의 명칭 311D(표준 궤) 및 311Da(러시아 궤)를 사용한다. 현대화된 기관차는 2133kW의 출력을 내며, 331 kN의 견인력과 100km/h의 최고 속도를 낸다.[7]
2017년 폴란드 열차 운영업체 는 VIS 시스템과 협력하여 ST44 한 대를 3 kV DC 전기로 개조했다. 207E로 명명된 이 새로운 기관차는 기존의 대차와 차대를 사용하며, 2.4MW의 출력을 내고 100km/h의 최고 속도를 낸다.[9][10]
3. 1. 엔진 및 동력 전달 방식
M62 기관차의 14D40 V형 엔진|V형 디젤 엔진ru[17]은 이전 설계 경험 없이 짧은 기간 안에 개발되어 신뢰성이 낮았다.[18] 1950년대 소련 국내 디젤 기관차는 더 넓은 궤간과 높은 터널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수직 대향 피스톤 엔진을 사용했다. 이 엔진은 페어뱅크스-모스의 38D8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소련의 대향 피스톤 엔진은 미국의 엔진과 마찬가지로 표준 궤도 철도용 기관차에 장착하기에는 높이가 너무 높아, 좁은 터널 여유 공간을 가진 동구권 국가에는 부적합했다. M62는 총괄 제어 장치를 갖추고 있어, 한 운전실에서 연결된 2량의 기관차를 조종할 수 있다. 평탄선에서 1000t의 화차를 최고 속도 80km/h로, 2량 연결 시 3600t까지의 열차를 최고 속도 60km/h로 견인할 수 있다.[25]3. 2. 대차 및 차체 구조
M62 기관차는 3축 보비 대차 2개를 사용한다. 기관차 프레임과 대차 프레임은 상자형 구조로 만들어졌다.[24] 디젤 엔진과 주 변압기는 철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은 다시 기관차 프레임에 고정된다. 전동기는 대차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24] 전기-공기식 총괄제어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최대 2중련(일부 3중련)까지 가능하다.[25]3. 3. 성능
M62 기관차는 전기-공기식 총괄제어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최대 2중련(일부 3중련)까지 가능하다. 단일 차량으로 1000ton의 화물을 견인할 수 있으며, 최대 중량 연결 시 평탄선에서 80km/h까지 낼 수 있다. 2중련 시 3600ton까지 견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고 속도는 60km/h로 떨어진다.[25]4. 운영 국가
코메콘 지침에 따라 동구권 국가들의 중형 디젤 기관차 생산은 루마니아와 소련에 독점적으로 할당되었다.[2] M62 기관차는 헝가리의 주문으로 개발되었으며, 헝가리 철도가 이전에 스웨덴 기관차(M61)를 주문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M62라는 명칭이 붙었다. 소련은 헝가리에게 소련 기관차를 구매하도록 강요했지만, 당시 적합한 디젤 기관차가 없어 M62 개발이 촉진되었다. 초기 프로토타입은 1964년에 완성되었고, 헝가리가 소련 외 첫 구매자였다.[3]
M62 기관차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운용되었다. 주요 운용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도입량 | 도입 시기 | 기타 |
---|---|---|---|
소련 | 723량 (M62), 13량 (3M62U), 154대 (DM62) | 1970년~1976년 (M62), 1989년~1990년 (3M62U) | DM62는 SS-24 스칼펠 탄도 미사일 열차 견인용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9량 (소련), 31량 (도이치반), 6량 (슬로바키아 철도), 13량 (폴란드 국영 철도) | 1967년~1995년 (소련), 1996년~1998년 (독일), 2000년 (슬로바키아, 폴란드) | 내연 기관차로 불림, 600~800호대 번호 부여.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에 내연 602호 투입. 복제 기관차 2대(금성 8001호, 8002호) 제작. 일부는 강행군형 전기 기관차로 개조. |
폴란드 | 1113량 (ST44), 68량 (ST44, 광궤용) | 1966년~1980년대 | ST44-1500호는 고속 주행 가능. 광궤용은 자동 연결기 설치. 연료 소모가 많고 궤도 마모 문제 존재. |
헝가리 | 294량 (M62), 15량 (M62.5, 광궤용), 6량 (M62.9, 죠르-쇼프론-에벤푸르티 철도) | 1965년~1978년 | M62 001은 최초 제작된 M62. 광궤용은 우크라이나 국경 지대에서 사용. M61보다 성능이 떨어져 열차 지연 문제 발생. 일부는 엔진 개조 후 M62.3으로 변경. |
독일 | 396량 | 1966년~1978년 | 동독에서 V200, 120형으로 불림. 독일 재통일 후 220형으로 변경 후 전량 폐차. |
체코슬로바키아 | 602량 | 1966년~1979년 | 표준궤는 T 679.1(781), 광궤는 T 679.5(781.8)로 불림. 2002년까지 운행. |
쿠바 | 20량 | 1974년~1975년 | M-62K급으로 명명. 피델 카스트로 운전. |
몽골 | 13량 (M62UM), 66량 (2M62M) | 1980년~1990년 |
4. 1. 소련
1970년부터 1976년까지 소련 철도(SZhD)는 M62 기관차 723량을 받았다.[1] 1989년에서 1990년 사이에는 3M62U 13량이 추가로 인도되었다.[1]소련군을 위해 DM62라는 이름의 기관차 154대가 제작되었다.[1] 이 기관차들은 SS-24 스칼펠 탄도 미사일 열차를 견인하도록 개조되었다.[1]

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은 제작 및 유지비가 저렴한 M62 기관차를 1967년부터 1995년까지 소련에서 49량 수입했다.[22] 1996년부터 1998년까지는 도이치반에서 31량,[13] 2000년에는 슬로바키아 철도에서 6량, 폴란드 국영 철도에서 13량을 수입했다.[22] 북한에서는 이 차량을 '''내연 기관차'''라고 부르며, 600~800호대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내연'이라는 명판 때문에 'LH01'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22]M62 기관차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북한 철도성에서 인기가 높으며, 비전철 노선뿐만 아니라 전철 노선에서도 운행된다.[13] 수입된 중고 기관차는 원래 국가에서 운행 당시 도색을 거의 바꾸지 않고 사용하고 있다. 독일에서 도입된 기관차는 다른 녹색 도색을 적용받았으며, '''내연7xx''' 시리즈로 번호가 매겨졌다. 폴란드와 슬로바키아에서 도입된 차량은 '''내연8xx''' 시리즈로 번호가 매겨졌다.[13]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 당시 동해북부선을 통해 남쪽으로 내려온 내연 602호 기관차에는 1968년 8월 9일 김일성이 탑승한 기관차라는 특별 명패가 걸려 있었다.[23] 내연 602호에는 김일성이 직접 검열했다는 특별한 붉은색 명판이 부착되어 있다.[14]
북한에서는 M62형을 복제한 기관차 2대(8001호, 8002호)를 제작하여 "금성"이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8002호는 3대 혁명 전람관에 전시되어 있고, 8001호는 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다.[13]

1998년 김정태 전기 기관차 공장에서 최소 15대의 M62 기관차가 전기 기관차로 개조되었다. 북한의 가공 전압이 3000V이므로 이는 비교적 쉬운 작업으로 추정된다.[14] 이들은 1.5-01부터 1.5-15까지 번호가 매겨졌으며, '''강행군형'''으로 알려져 있다.[13]
4. 3. 폴란드
1960년대 초반 폴란드에서는 대형 디젤 기관차가 필요했다. 당시 폴란드 국내에서는 기관차를 생산할 수 없었으므로, 루마니아에서 ST43 기관차를 수입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정치적인 이유로 소련에서는 루마니아산 기관차 대신 소련산 기관차를 구매하라고 압력을 넣었으며, 이미 헝가리에 수출된 적이 있는 M62 기관차를 대량으로 수입하기로 결정하였다. 당시 소련 위성 국가끼리 상품을 수출하는 행위는 권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20] 폴란드에서는 이 기관차에 '''ST44'''라는 이름을 부여하였다.[24] 1차 수선 시 모든 기관차의 전조등을 폴란드에서 사용하는 대형 전조등으로 교체하였다.[25]보로실로프그라드 기관차 공장에서 생산된 기관차는 1966년 최초 편성이 납입되었고, 1980년대까지 1113량이 납입되었다. ST44-1500호 기관차(제작사 호칭 M63)는 고속 주행이 가능한 대차와 전동기로 교체하였다. 2001호부터 2068호까지 기관차는 광궤선 LHS를 위하여 도입하였다. 나머지 모든 기관차와는 달리 광궤용이며, 자동 연결기가 설치되어 있다.[24] 광궤용 ST44 기관차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2005년에는 2량의 기관차가 재생되어, 엔진과 주 변압기를 교체하여 광궤 노선에 투입하였다.[26]
M62 기관차 수입은 여러가지 이유로 오늘날에는 모호하게 평가받는다. 구조가 간단하고 디젤 전기식 동력 장치는 안정성이 좋은 편이지만, 당시 폴란드에서 사용하였던 가장 출력이 높은 증기 기관차보다 출력이 한참 높았으며, 객차 전열기가 장착되지 않아서 여객 열차를 견인할 수도 없었고, 높은 중량 때문에 궤도를 마모시켰다. 또한 연료 소모도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PKP에서는 전철화 이후 M62 기관차 사용을 축소시키고 있다. 일부 노선에는 마모 문제 때문에 ST44 기관차가 진입할 수 없다.[20][21] 간선에서 퇴역한 ST44 기관차는 사철 및 전용선으로 이동하였다.


4. 4. 헝가리
1965년부터 1978년까지 헝가리 국영 철도(MÁV)는 M62 기관차 294량을 도입했다.[2] M62 001은 최초로 제작된 M62였으며, 현재도 운행 중이다.[3]
1970년부터 1978년 사이에는 러시아 광궤용 M62.5 15량을 구매했고, 표준궤 M62 중 3량을 광궤용으로 개조했다. 이 기관차들은 우크라이나 자호니 근처 구 소련 국경 지대에서 사용되었으며, 2005년 기준으로 7량이 사용 중이다.[2]
1972년 죠르-쇼프론-에벤푸르티 철도(GySEV)는 표준궤용 M62.9 6량을 주문했으나, 1996년 쇼프론에서 폐차되었다.[2]
M62 기관차는 스웨덴 NOHAB에서 생산된 M61 기관차보다 성능이 떨어졌다. M61은 M62보다 10톤 가볍고 출력이 약간 낮았지만, 연료 소비는 50~60% 적으면서도 25% 더 무거운 화물을 견인할 수 있었다. M62는 부다페스트-니레지하저 간을 재급유 없이 왕복할 수 없어 열차 지연 문제를 일으켰다.[2]
1997년부터는 소련제 콜로므나 엔진을 개조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301, 303, 304호 기관차는 MTU 프리드리히샤펜 엔진, 나머지는 캐터필러 엔진으로 개조되었다. 엔진을 개조한 기관차 34량은 M62.3으로 개명되었으며, "Remot-Szergej" (재동력화된 세르게이), "Csendes" (조용한), "Csörgős" 등의 별명으로 불렸다.[2]
4. 5. 독일
동독에 수출된 M62 기관차는 처음에 V200으로 불렸고, 이후 120호대로 번호가 바뀌었다.[2] 1966년부터 1978년까지 396량이 수출되었으며, 독일 재통일 이후 220호대로 바뀌었다가 1994년 전량 폐차 및 수출되었다.[2]1966년부터 1978년에 걸쳐 동독 국철에 378량, 기타 산업 철도에 18량이 납입되었다. 동독 국철 차량은 당초 '''V200형'''으로 불렸으나, 후에 '''120형'''으로 개칭되었다. 독일 재통일 후, 형식은 '''220형'''으로 변경되었지만, 급속히 도태되어 1994년 말에 전폐되었다.[17] 산업 철도용 차량도 1998년까지 운용에서 이탈했다.

4. 6. 체코슬로바키아
1966년부터 1979년까지 총 602량의 M62 기관차가 체코슬로바키아로 수출되었다.[2] 표준궤 차량은 T 679.1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가 1988년에 781로, 광궤 차량은 T 679.5라는 이름이 붙었다가 781.8로 바뀌었다.[3] 이 기관차들은 2002년까지 체코 및 슬로바키아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 국철 국영 회사(ČSD)는 1966년부터 1979년에 걸쳐 우크라이나 루한스크 기관차 공장에서 제작된 표준궤용 T679.1형 및 광궤용 T679.5형 총 599량을 수입하여 간선계 중화물 열차에 투입하였다. 그러나 주요 간선의 전철화가 진행됨에 따라 운용 선구가 급속히 축소되었고, 1987년에는 잉여 차량을 헝가리 국철에 매각하는 등 도태가 시작되었다. 1988년의 체코슬로바키아 국철 동력차 대개번으로 781형과 781.8형으로 개칭되었다.
연방제 해소 후 체코 철도 공단(ČD)과 슬로바키아 공화국 철도(ŽSR)에 승계되었지만, 슬로바키아 철도에서는 1997년에 운용이 종료되었다. 체코 철도에서는 체코 서부의 호무토프-헤프 철도선에서 중화물 열차에 사용되었고, 말기에는 독일 바이에른주 알츠베르크 화력 발전소 향 석탄 화물 열차에 사용되었지만, 해당 발전소의 폐지와 함께 2002년 11월 30일에 운용이 종료되었다.
현재 781.312가 슬로바키아 철도 브라티슬라바 교통 박물관에서, 781.600이 체코 철도 기관차 박물관 호무토프 기관구에서 보존 전시되고 있으며, 사회주의 시대의 도색으로 복원된 슬로바키아 철도 및 체코 철도 소속 3량이 우루토키 기관구 (슬로바키아), 레토프라트 기관구 (체코), 헤프 기관구 (동)에 배치되어 이벤트 열차 등으로 운행되고 있다.
4. 7. 기타 국가
쿠바에는 1974년부터 1975년까지 총 20량의 M62 기관차가 수출되었으며, M-62K급으로 명명되었다. "K"는 쿠바의 러시아어 표기인 "Куба"에서 유래되었다.[15] 처음에는 501부터 520까지의 번호를 부여받았고, 나중에는 61.6(또는 61.6XX, XX는 01부터 20까지의 숫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기관차 번호판에는 점이 없었다(예: 61602). 1990년에는 쿠바에서 제작된 기관차(61.621)가 등장했는데, 여러 오래된 61.6 기관차의 요소가 사용되었다. 이들 기관차 대부분은 현재 운행되지 않지만, 61602번 기관차는 아바나 국립 철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기관차는 피델 카스트로가 직접 운전하기도 했다.[16] 다른 M-62K 생존 기관차는 시엔푸에고스에서 발견되었으며, 61611번과 61605번으로 확인되었다.[16]1980년부터 1990년까지 몽골에는 단일 기관차 M62UM 13량, 중련 기관차 2M62M 66량이 수출되었다.

5. 파생형
M62 기관차는 여러 파생형 모델을 가지고 있다.
- 2M62: M62 기관차 2량을 영구 연결한 모델이다. 1980년부터 1990년까지 몽골 철도청(MTZ)에 도입되었다.[1]
- M62UP: 산업용으로 제작된 모델로, 개량된 대차, 더 큰 연료 탱크, 개조된 배기 소음기를 갖추고 있다. 총 39대가 생산되었다.[1]
- DM62: 소련군용으로 제작된 모델로, SS-24 스칼펠 탄도 미사일 열차를 견인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 총 154대가 생산되었다.[1]
5. 1. 2M62
1980년부터 1990년까지 몽골 철도청(MTZ)은 단일 유닛 M62UM 13대와 쌍둥이 유닛 2M62M 66대를 도입했다.[1] 2M62M은 M62 기관차 2량을 영구 연결한 모델이다.[1]
2M62M 1조(2M62-0158)는 시기 미상으로 전장품을 장착하여 전기 기관차로 개조되었으며, 바쿠 방면에 배치된 것으로 보인다.[1]
5. 2. M62UP
산업용으로 제작된 '''M62UP''' 버전 기관차는 39대가 제작되었다. 이 기관차는 개량된 대차, 더 큰 연료 탱크, 개조된 배기 소음기를 갖추고 있었다.[1]5. 3. DM62
'''DM62'''는 소련군용으로 제작된 기관차로, 총 154대가 생산되었다. 이 기관차들은 SS-24 스칼펠 탄도 미사일 열차를 견인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1]6. 별명
M62 기관차는 소련에서 생산되었다는 사실 때문에 여러 별명이 붙었다.
- 가가린: 폴란드에서 사용된 별명으로, 소련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0]
- 이반/이완, 세르게이/세르게이: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사용된 별명으로, 흔한 러시아식 이름이다.[20]
- 세르제이(Szergej): 헝가리에서 사용된 별명으로, 역시 흔한 러시아식 이름이다.
- 타이가트롬멜(Taigatrommelde): 독일에서 사용된 별명으로, 기관차의 소음과 진동 때문에 붙여졌다.[20] 초기 기관차는 배기 소음기가 없는 상태로 동독에 수출되었다.[2]
- 스탈린의 마지막 복수: 독일에서 타이가트롬멜과 같은 이유로 붙여진 별명이다.[20]
- 무하( = 파리): 벨라루스에서 사용된 별명이다.
- 마슈카(Машкаru): 소련에서 널리 사용된 별명으로, "M"이라는 이름에서 파생된 마리아의 애칭이다.[20]
- 마루샤(Marusya):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된 별명으로 마슈카의 변형이다.
- 신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별명이다.
6. 1. 폴란드
폴란드에서는 소련에서 제작된 M62 기관차를 대량으로 수입하여 사용했다. 이 기관차는 폴란드에서 ST44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소련 출신 우주 비행사인 유리 가가린의 이름을 따 '''가가린'''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20] 또한, 러시아식 이름인 '''이반''' 또는 '''세르게이'''라고 불리기도 했다.[20]1960년대 초, 폴란드는 대형 화물 디젤 기관차가 필요했지만, 자체 생산 능력이 부족했다. 이에 헝가리에서 이미 수입한 소련제 M62 기관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4] 1965년부터 1988년까지 총 1,191대의 기관차가 폴란드에 인도되었다.[4]
M62 기관차는 폴란드 증기 기관차보다 강력했지만, 객차 난방 및 전력 공급 장치가 없어 여객 열차 견인에는 부적합했고, 궤도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나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신뢰성 있는 디젤-전기 변속기 덕분에 화물 운송에 널리 사용되었다. 폴란드 철도의 전철화가 진행되면서 ST44 기관차는 점차 예비용으로 전환되었고, 일부는 산업 및 사설 철도에서 사용되었다.[2]
6. 2. 독일
독일에서는 기관차의 소음과 진동 때문에 타이가트롬멜(Taigatrommelde), 스탈린의 마지막 복수라는 별명이 붙었다.[20] 초기 기관차는 배기 소음기가 없는 상태로 동독으로 수출되었다.[2]1966년부터 1978년까지 동독 국철에 378량, 기타 산업 철도에 18량이 동독에 납입되었다. 동독 국철 차량은 당초 '''V200형'''으로 불렸으나, 후에 '''120형'''으로 개칭되었다. 독일 재통일 후 '''220형'''으로 변경되었지만, 1994년 말에 전폐되었다. 산업 철도용 차량도 1998년까지 운용에서 이탈했다.
6. 3. 소련
Машкаru - "M"이라는 이름에서 나온 마리아의 애칭이다.[20] 이 기관차는 일부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컬트적 인기를 얻고 있다. 소련에서 이 기관차는 '''마슈카'''(Машкаru)라고 불렸다.6. 4. 북한
M62 기관차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북한 철도성)에서 인기가 높으며, 비전철 노선뿐만 아니라 전철 노선에서도 운행된다. 1967년부터 1995년까지 소련과 러시아 연방에서 64대의 기관차가 수입되었으며, '''내연6xx''' (Naeyŏn 6xx) 시리즈로 번호가 매겨졌다.[13]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도이치반(Deutsche Bahn)에서 31대의 기관차가 인도되었다. 2000년에는 슬로바키아 철도(Železničná spoločnosť Slovensko)에서 6대, 폴란드 국영 철도(Polish State Railways)에서 13대가 인도되었다. 인도된 기관차 중 표준 북한 도색(하늘색 바탕에 녹색)으로 칠해진 것은 없으며, 이전 운행 당시의 도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데, 이전 독일에서 도입된 기관차는 다른 녹색 도색을 적용받았다. 독일에서 도입된 차량은 '''내연7xx''' (Naeyŏn 7xx) 시리즈로, 폴란드와 슬로바키아에서 도입된 차량은 '''내연8xx''' (Naeyŏn 8xx) 시리즈로 번호가 매겨졌다.[13]
내연 602호 기관차에는 김일성이 직접 검열했다는 특별한 붉은색 명판이 부착되어 있다.[14]
북한에서는 8001호와 8002호 두 대가 복제되어 "금성"(Kŭmsŏng)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8002호는 제작 이후 삼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8001호는 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다.[13]
1998년 김정태 전기 기관차 공장에서 최소 15대의 북한 M62 기관차가 전기 기관차로 개조되었다. 북한의 가공 전압이 3000V이므로 이는 비교적 쉬운 작업으로 추정된다.[14] 번호는 1.5-01부터 1.5-15까지이며, 이들은 '''강행군형''' (강행군)으로 알려져 있다.[13]
7. 한국에서의 의의
M62 기관차는 냉전 시대 동구권 기술의 산물이자, 남북 분단의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이다.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을 통해 남북 철도 연결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다만, 남북철도 연결을 위해서는 M62 기관차와 같은 노후 기관차의 현대화, 기술 표준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7. 1. 남북 분단의 상징
M62 기관차는 냉전 시대 동구권 기술의 산물이자, 남북 분단의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이다. 1960년대 초, 폴란드는 대형 화물 디젤 기관차가 필요했지만, 자체 생산 능력이 부족하여 소련으로부터 M62 기관차를 대량 수입했다. 폴란드에서는 이 기관차를 ST44라고 불렀다.[4] 정치적인 이유로, 소련은 폴란드가 루마니아 대신 소련 기관차를 구매하도록 했다.[2]7. 2. 남북 철도 연결의 가능성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은 M62 기관차가 남북 철도 연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7. 3. 향후 과제
남북철도 연결을 위해서는 M62 기관차와 같은 노후 기관차의 현대화, 기술 표준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참조
[1]
웹사이트
Standard-Gauge Locomotives in Poland
http://www.locomotiv[...]
2009-05-16
[2]
웹사이트
Strony modeli kolejowych w skali H0
http://www.cn.com.pl[...]
1999–2004
[3]
웹사이트
www.transport.rar.pl
http://www.transport[...]
[4]
웹사이트
Lokomotywa spalinowa serii ST44
http://cupik.podkarp[...]
[5]
웹사이트
LHS Sławków
http://www.lhs.slawk[...]
[6]
웹사이트
Zmodernizowana lokomtywa serii ST44
http://www.fablok.co[...]
Bumar-Fablok
[7]
웹사이트
311D
https://www.newag.pl[...]
[8]
뉴스
"[PL] Modernization time; more 311Da for PKP LHS"
https://railcolornew[...]
2017-08-21
[9]
웹사이트
Electric locomotive 207E
http://www.railpolsk[...]
[10]
뉴스
"[PL] The test program with Rail Polska 207E-001 [updated]"
https://railcolornew[...]
2018-03-13
[11]
뉴스
'[PL / Expert] The second "Edgar" series 207E locomotive appears'
https://railcolornew[...]
2020-06-23
[12]
뉴스
Rail Polska zawarł umowę ws. leasingu lokomotyw 207E
https://intermodalne[...]
2021-01-14
[13]
서적
将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14]
웹사이트
Taiga Drums in North Korea
http://www.farrail.n[...]
[15]
웹사이트
K means Cuba in Russian (Kyba)
http://www.wumme-onl[...]
[16]
웹사이트
" An M-62K in Cienfuegos Cuba"
https://www.flickr.c[...]
2007-05-08
[17]
웹사이트
PJSC Kolomensky Zavod - About the company - History - 1945-1959 -
http://www.kolomnadi[...]
PJSC Kolomensky Zavod
2013-08-13
[18]
서적
Locomotive Panorama Volume II
Ian Allan Publishing
1966
[19]
웹인용
Standard-Gauge Locomotives in Poland
http://www.locomotiv[...]
2009-05-16
[20]
웹인용
Strony modeli kolejowych w skali H0
http://www.cn.com.pl[...]
2007-08-02
[21]
웹인용
www.transport.rar.pl
http://www.transport[...]
2007-08-02
[22]
웹인용
Taiga Drums in North Korea
http://www.farrail.n[...]
2007-08-02
[23]
웹인용
사진으로 보는 ‘통일철마의 꿈’
http://blog.korea.kr[...]
2007-05-18
[24]
웹인용
Lokomotywa spalinowa serii ST44
http://cupik.podkarp[...]
2007-08-02
[25]
웹인용
LHS Sławków
http://www.lhs.slawk[...]
2007-08-02
[26]
웹인용
Zmodernizowana lokomtywa serii ST44
http://www.fablok.co[...]
2007-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